유댕이의 개발공부일지
<TIL 20.07.06> CommonJS 본문
CommonJS란 '. js'파일 간에 어떻게 의존성을 가지게 할지 정해주는 것이다. 이런 개념의 존재 이유는 자바스크립트를 범용적으로 모듈화를 높이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exports는 단순히 module.exports를 참조할 뿐이다. module.exports와 exports는 같은 객체를 바라보고 있으며, exports는 module.exports의 shortcut이다.
모듈 정의는 전역객체인 export()객체를 이용한다.
node.js에서는 모듈을 불러오기 위해 require() 함수를 쓴다.
모듈
코드를 여러 개의 파일로 분리하는 것. 즉, 스크립트 하나가 모듈 하나가 되는 것이다.
(js파일을 스크립트로 연결하지 않고 다른 js파일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
- 자주 사용되는 코드를 별도의 파일로 만들어서 필요할 때마다 재활용할 수 있다.
- 코드를 개선하면 이를 사용하고 있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개선된다.
- 코드 수정 시에 필요한 로직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 필요한 로직만을 로드해서 메모리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 한번 다운로드된 모듈은 웹브라우저에 의해서 저장되기 때문에 동일한 로직을 로드할 때 시간과 네트워크 트래픽을 절약할 수 있다. (브라우저에서만 해당)
* JSON.stringify() : JSON 문자열로
* JSON.parse() : JSON문자열 -> JS값이나 객체로
* 라우팅 : 경로를 선택하는 것
출처 : 생활코딩(모듈)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07.08> React (0) | 2020.07.08 |
---|---|
<TIL 20.07.07> Express (0) | 2020.07.07 |
<TIL 20.07.03> HTTP (0) | 2020.07.03 |
<TIL 20.07.02> Browser Security (0) | 2020.07.02 |
<TIL 20.07.01> Web Architecture (0) | 2020.07.01 |